티스토리를 운영하면 구글 에드센스 등록을 일반적으로 생각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적인 절차는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을 하는 것인데
https://relaxmylife.tistory.com/91
그 모든 절차가 끝났다면 결과적으로 최대한 많은 사람이
유입되게 하는 것이 블로그 운영과 수익 등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네이버 검색에도 노출이 될 수 있도록 등록을 하는 것이 좋다.
물론 네이버는 자체 블로그가 존재하고 게다가 국내에서는 티스토리보다 이용률도 높다.
무슨 소리냐면 네이버에 등록시킨다 한들 티스토리 블로그는 네이버 블로그에 검색 순위에 밀린다.
그렇다 해도 밀린다고 단 한명이라도 검색해서 들어 온다면 등록을 하는것이 좋은일이고
등록 절차는 구글서치 콘솔보다도 쉬운 편이다.
네이버에 서치어드바이저라고 검색하면 밑에 사이트로 들어 갈 수 있다.
위에 사이트에 들어갔으면 오른쪽 상단에 웹마스터 도구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사이트등록이라고 써있는 창에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면된다.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면
구글 서치콘솔과 마찬가지로 블로그의 소유권 확인을 해야 한다.
소유권 확인은 HTML 파일 업로드와 HTML 태그 두가지가 있는데
구글 서치콘솔과 마찬가지로 가장 간편한 HTML태그 방식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HTML태그를 선택하면 밑에 있는 <meta 로 시작하는 문구를 복사해줍니다.
그 다음은 구글 서치 콘솔과 동일하게 자신의 블로그로 돌아가서
블로그 편집 메뉴에 스킨 편집으로 들어 간다.
이후 html편집을 눌러 주고
<head>와 </head>사이에 복사한 태그를 붙여 주면된다.
이미 구글 서치콘솔의 주소를 위에 붙였으면 아래 붙여도 되고 위에 붙여도 상관없다.
붙였다면 적용을 꼭 누르고 다시 네이버 서비어드바이저로 돌아와서 소유권 확인을 클릭한다.
다음에는 구글 서치콘솔과 마찬가지로 RSS와 사이트 맵 제출을 해야 한다.
블로그 주소/sitemap.xml 을 입력후 확인한다.
블로그 주소/rss 를 입력 후 확인을 누른다.
이렇게 하면 네이버에서도 블로그가 검색이 된다.
다만 위에서도 말했지만 티스토리의 경우 네이버 검색에서 순위가 많이 밀린다.
한 예로 지금 이 블로그의 방문유입 경로를 보면
구글 검색이 369일때 다음 검색이 49 네이버가 2다.....
네이버 유입은 기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그래도 등록시키는 것은 지금은 2지만 구글 검색 1000이 넘는다면 네이버도 6은 될테고
조금이라도 유입할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다. 한번만 등록하며 되는데 안할 이유가 없다.
다들 블로그 시작하신다면 초반에 귀찮아도 기본 세팅은 다 갖추고 진행하는것이
이후 방문객 유입에 도움이 될거라 생각 한다.
'정보 생활 > 블로그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드센스 용어 CPC, 페이지 RPM,노출 RPM 페이지 CTR 그리고 CPA, CPS, CPI 무슨 뜻인가? (2) | 2023.07.27 |
---|---|
구글 SEO(검색엔진 최적화)에 유용한 방법 (1) | 2023.07.26 |
다음 검색 등록 하는 방법 (0) | 2023.07.18 |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방법 -티스토리 (2) | 2023.07.17 |
구글 에드센스 16일 만에 승인 완료 노하우 (72) | 2023.07.06 |
댓글